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Z세대, 원격 근무뿐 아니라 교회도 온라인으로

현재 교계의 영역은 계속 축소되고 있다. 한국 미국 교계 등 주요 교단마다 교인들이 감소하다 보니 현실은 암울하다. 앞으로 기독교의 미래가 될 젊은 세대는 더더욱 교회를 외면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젊은 세대의 성향을 파악하고 그들을 품기 위한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 특히 이민 교계의 문제는 교회들이 언어 문화적으로 다른 한인 2~3세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준비가 제대로 돼있지 않다는 점이다. 지금부터라도 준비를 하고 대비해야 한다. 그래야 미래가 있다.   이민 교회 연령 구조 역삼각형 형태 언어 문화 등 차세대와 괴리 커져   교회마다 젊은층 감소 문제 인지 미래 위한 연구, 대안 등은 미비   종교 기관 역할에만 충실한 건물 다음 세대 위해 다용도로 변해야   오렌지카운티 지역에서 청년 사역을 담당했던 목사 김모씨는 "딱 10년 전과 비교해봐도 분위기가 분명히 달라졌다"며 한숨부터 쉬었다.   김 목사는 "요즘은 목회자들도 청년 사역을 담당하는 것을 기피하는 추세"라며 "교회 내 젊은 세대가 확연하게 줄어든데다 특히 이민교회에서 한인 청년들의 감소세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추세는 팬데믹 사태 이후 더욱 극심해졌다는 게 교계의 전언이다. 가뜩이나 교회로 향하는 발걸음이 줄어든 가운데 팬데믹을 거치면서 비대면 예배가 활성화된 것이 원인이다.   LA지역에서 유년부를 담당하는 전도사 박모씨는 사역 현장에서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체감하는 중이다.   박 전도사는 "아이들은 보통 부모를 따라 교회로 오는데 팬데믹 이후 성인 교인들도 많이 감소하다 보니 자연스레 유년부도 예전만 못하다"며 "해마다 유년부가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였는데 팬데믹 이후 이러한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큰 틀에서 보면 교세 감소 이면에는 이민자 감소 저출산 교회에 대한 신뢰도 하락 등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고 있다. 갈수록 교회 내 연령별 구조가 역삼각형 형태로 고착되는 이유다.   UCLA 유헌성 연구원(사회학)은 "교회뿐 아니라 학교 역시 10~20년 전에 비해 저출산 등의 여파로 학생 수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라며 "특히 한인 이민자 한국어 사용 등 이민교회만의 구조적 특수성을 고려하면 교계는 인구 구조적 변화에 더욱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제는 'Z세대'가 대세다. Z세대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태생으로 규정된다. 사회적으로도 이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만큼 기성세대와의 괴리가 있다.     일례로 미국 최대 장로교단인 미국장로교(PCUSA)만 봐도 34세 이하 각 연령별 비율은 모두 5% 미만인데 그중 Z세대에 해당하는 청소년 교인의 상황은 매우 암울하다. PCUSA에 따르면 지난해 신앙고백을 한 청소년은 5708명이다. 이는 2016년(1만1243명) 2017년(1만716명) 2018년(9578명) 2019년(9023명) 2020년(5319명) 등 계속 줄고 있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면 신앙고백을 하고 정식으로 교인이 된 청소년이 불과 10년도 안 돼서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점은 심각한 상황을 방증한다.   오렌지카운티 지역 한 교회에서 청년부 소그룹 리더를 맡고 있는 제니퍼 조씨는 "Z세대는 우리 세대와 달리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고 삶의 질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다"며 "신앙 역시 교리적인 부분이나 기독교 자체에 대한 고민보다는 그것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더 관심을 갖는다"고 말했다.   최근 기독교 싱크탱크인 스프링타이드연구협회(SRI)가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Z세대는 대체로 ▶형식적인 종교적 행위나 제도권 종교에 얽매이지 않음 ▶종교나 신앙에 대한 고찰보다는 자신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을 선호 ▶종교적이기보다 스스로 영적인 것을 추구 ▶종교 활동을 원하지 않음 ▶종교 기관에 대한 불신 ▶종교의 영역 내에서보다 일상에서 더 종교성을 찾고자 함 등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기독교내 젊은 세대가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교회마다 젊은층 감소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등은 정작 미비하다는 점이다.   한인 2세 크리스 윤(프린스턴신학교)씨는 "현재 한인교회들이 이민 1세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급진적으로 구조적 변화를 추구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교회마다 젊은 세대를 품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미래'보다 생존을 위한 '오늘'을 더 신경 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민교회는 타교회와 달리 언어적 문화적으로 여러 가지로 특수성을 지닌 집단이다. 이민교회는 크게 한국어를 사용하는 1세대 교인들과 영어를 사용하는 2세들로 구성원이 나뉘는데 언어로 인한 차이는 사고방식 문화적으로 각종 괴리를 낳는다. 사실상 신앙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모이지만 이면에는 다양성의 차이로 인한 이질감이 존재한다.   어바인 지역 데이브 노 목사는 "2세들도 당연히 교회에서 친목을 도모하지만 1세대가 추구했던 친목의 방식과 목적에는 엄연한 차이가 존재한다"며 "미국화 된 2세들은 사람을 만날 때 상대방의 국적 출신 등을 궁금해 하거나 굳이 '코리안'인지 여부를 묻지 않는다. 1세대처럼 상대 나이조차 궁금해 하지 않는다. 그런 점만 봐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팬데믹 사태로 인한 인식의 변화는 교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례로 비대면 예배가 활성화하면서 기존 교회 운영 방식에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대학생 자녀를 둔 교인 갈렙 정(52.풀러턴)씨는 "아들이 팬데믹 사태 이후 교회 출석을 하지 않고 있는데 온라인 예배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며 "젊은 세대가 회사에서만 원격 근무를 하는 게 아니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면서 종교계에도 그러한 현상이 생겨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니 한(36.LA) 목사는 "Z세대가 앞으로 기독교의 주요 세대가 될 텐데 종교계 역시 그에 따른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며 "예를 들면 기존 종교 건물의 용도도 많이 달라질 것 같다. 종교 기관의 기능만 감당할 수 있는 오늘날 교회의 하드웨어가 갈수록 종교와 거리가 멀어지는 다음 세대에게 어떤 용도로 수용될지 고민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온라인 원격 이민 교회 종교 기관 이민자 감소

2022-11-14

가주 이민자 급감…경제에 타격 우려

가주의 인구 감소는 이민자가 줄어든 것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LA타임스는 센서스국 자료를 인용, “지난해 가주에서는 4만3300명의 이민자가 늘었지만 팬데믹 이전에는 매해 평균 14만 명이 유입됐었다”고 11일 보도했다.   USC 에밀리 료 교수(법학·사회학)는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민자가 줄면서 서비스 분야에서의 노동력 부족이 심화했는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라며 “특히 장기 요양원 등에서 일할 사람이 매우 부족해졌고 노년층 역시 떠나면서 이는 가주의 인구 감소에도 한 몫 했다”고 말했다.   실제 가주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월~2022년 1월 사이 가주 인구는 전체적으로 11만7552명이 줄었다.     남가주 지역 필리핀노동자센터 아퀼리나 베르소자 대표는 “이민자는 가주 노동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팬데믹 사태 이후 이곳으로 오는 이민자가 크게 줄었다”며 “요즘은 간병인을 구해달라는 요청에도 일할 사람을 찾아주지 못해 매우 난감한 상태”라고 전했다.   LA타임스는 “이민자 감소는 팬데믹 사태 당시 이민자를 강제 추방하도록 허용한 연방공중보건법(타이틀42)이 원인”이라고 전했다.   즉, 트럼프 정부가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합법 신분 없이 국경을 넘는 불법 이민자를 강제 추방하도록 허용한 타이틀42를 시행한 이후, 바이든 행정부 역시 이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 이민자 감소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도 타이틀42를 점진적으로 폐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이민자 유입이 둔화하고 인구가 감소하면 가주 경제는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UCLA노동센터 빅터 내로 디렉터는 “라틴계 이민자, 노동자에게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가주는 현재 산업 구조상 이민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데 요즘과 같은 노동력 부족을 감당할 수 있는 준비가 전혀 돼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민자 부족 현상은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센서스국에 따르면 지난 2020~2021년 사이 전국에서는 24만4000명의 이민자만 유입됐다. 이는 지난 10년 사이 가장 많은 이민자가 유입됐던 2015~2016년(104만9000명)과 비교하면 급감한 것이다.   장열 기자이민자 급감 이민자 급감 이민자 감소 이민자 유입

2022-05-11

이주 노동자 감소로 미국 노동력 부족 가중

 미국 인구·노동력 증가의 견인차인 이주 노동자가 감소하면서 미국의 노동력 부족 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부터 수년간 연간 100만명 정도의 이민자가 미국에 들어왔지만, 2020년 하반기∼2021년 상반기 12개월간 이민자 수는 24만7000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19년 이민자 수의 절반 수준이며 2016년과 비교하면 4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미국 이민자 감소는 2017년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반이민 정책을 펼치면서 시작됐다.   이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영사관 폐쇄 등으로 비자 업무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이민자 수가 급감했다.   이로 인해 미국에 가장 많은 노동자를 보내는 멕시코와 도미니카 공화국·베트남·필리핀·중국 노동자들에 대한 취업비자 발급 건수는 2년 전과 비교하면 절반에서 3분의 2 정도나 급감했다.   여기에 취업비자로 미국에서 일하고 있던 외국 노동자들의 비자 연장이 지연되는 것도 외국인 노동자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코로나19 등으로 이민서비스국(USCIS)의 심사 절차가 지연되면서 160만명이나 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취업비자를 갱신하지 못하고 있다.   USCIS는 코로나19 대유행 전에는 통상 3∼4개월 만에 취업비자를 갱신해줬지만, 지금은 처리 기간이 9∼11개월로 늘어난 상태이다.   이와 관련,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데이비스)의 노동경제학자인 조반니 페리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의 이민정책이 지속됐더라면 지금보다 생산연령 이민자가 240만명 정도 더 많이 미국에 들어왔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페리는 이는 미국 내 전체 생산연령 노동자의 1%에 해당하는 규모라면서 현재의 구인난에 외국인 노동자 부족도 한몫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컸던 산업일수록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의 비중이 17.2%에 달했던 보건복지 분야는 현재 9%의 일자리가 비어있는 상태이다.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28%에 이르는 건설 분야의 인력도 4.8% 부족한 실정이며 운송·창고·유틸리티 업종의 비어있는 일자리도 6.6%에 달한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구인난 해소를 위해 계절노동자들에게 주어지는 임시 취업비자를 올해 5만5000개로 2배 가까이 늘리기로 했다.   또한 비자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비자 심사 때 유학, 취업 등 비 이민자 항목에 해당하는 일부 신청자들의 대면 인터뷰를 올해 말까지 면제하기로 했다.   하지만 5분의 1 정도의 미국 영사관이 아직 대부분의 비자 업무를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비자 업무를 하는 영사관들도 그동안 쌓인 750만명에 이르는 비자 신청으로 인해 신속한 비자 발급이 힘든 상황이라고 WSJ은 전했다. 장은주 기자미국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들 외국 노동자들 이민자 감소

2022-04-06

이민자 유입 감소로 일손 부족 심각

미국 내 이민자 유입이 줄면서 일손이 크게 부족해지고 있다고 NBC 뉴스가 10일 보도했다.   이 뉴스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후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근무하던 사표를 내고 학교에 대면 수업을 강요하는 배경도 결국 미국으로 들어오는 새로운 이민자 수가 줄어든 것과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이민자 감소가 전반적으로 노동자들의 임금을 인상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방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신규 이민자 수는 24만7000명으로, 이는 2016년에 미국에 들어온 이민자 수인 104만900명에 비해 4분의 1에 그친다.   이처럼 이민자가 줄다 보니 상대적으로 이민자들이 많이 몰려 있는 서비스직의 인력난은 가중되고 있다고 이 뉴스는 전했다.     연방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이민자 출신 노동자의 21.2%가 음식 서빙, 건축공사, 정비업에 종사하고 있다. 반면 미국 출생자는 14%만 관련 직종에서 일하고 있다. 천연자원 추출과 건설업 분야에도 이민자 출신 노동자가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출생자는 8%에 그친다.   이민자 출신 노동자 부족은 미국 출생 노동자들의 임금을 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민자 출신 노동자들이 미국 출생자보다 교육수준이 낮고 임금도 낮은 업종에 종사하다 보니 평균 소득이 낮지만 이민자가 줄어들면서 이들의 일자리를 차지한 미국 출신 노동자들의 임금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방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외국인 노동자의 주당 평균 소득은 885달러였지만 미국 출생자의 주당 소득은 1000달러로 나타났다. 장연화 기자이민자 유입 이민자 유입 이민자 감소 이민자 출신

2022-01-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